분류 전체보기19 [Chapter1] 전방향 신경망, 비선형 뉴런, 소프트맥스 출력층 (이어서) ◎ 전방향 신경망(feed forward neural network) 전방향 신경망은 단일 뉴런이 여러 개로 구성된 모델입니다. k번째 층의 i번째 뉴런과 k+1번째 층의 j번째 뉴런을 연결하는 가중치는 $w_i,j^(k)$ 라고 할 때, 가중치들은 파라미터 벡터 $\theta$를 구성합니다. 우리는 $\theta$의 최적값을 찾는 것으로 신경망의 능력을 판단합니다. 여기서, 연결들은 입력 → 출력 방향으로만 이동합니다. 같은 층의 뉴런들 사이에는 연결이 없고, 출력 → 입력 방향으로의 이동도 없습니다. 전방향 신경망 사용시 유의점 은닉층(hidden layer) : 첫 번째 층의 뉴런(입력층)과 마지막 층의 뉴런(출력층) 사이에 끼어있는 층 존재. 은닉층은 학습 시 유용한 특징을 찾는 과정을.. 2020. 4. 16. [Chapter1 신경망] 딥러닝의 정의, 퍼셉트론, 인공 뉴런 모델 들어가기 전에... 최근 영드 셜록을 정주행 하다보니 셜록이 이런 말을 하더라구요 '개인의 심리와 기질, 무한한 확장성을 가진 배열로 모든 변수를 만들고, 확률 수학을 이용하면 모든 미래를 예측 가능하다.' 예전같으면 단순히 역시 천재는 다르네... 하고 지나갔을 대사였겠지만 인공지능에 관심을 가진 후 보니 아...정말 머지 않은 미래엔... 미래를 100% 예측하는 천재가, 아니 천재의 뇌를 모방한 기계가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물론 쉽지는 않겠지만..? 딥러닝은 학교 수업 시간에 겉핥기 식으로 잠깐 배운게 다였는데 조금은 깊이 배워보기 위해 이 책을 통해 이해한 내용을 기록하고, 지식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 딥러닝(Deep learning)이란? 딥러닝(Deep learning)은 사람.. 2020. 4. 2. 깃허브( github) TIL 카테고리 만들기 1. TIL이란? Today I Learn 의 약자로 하루 하루 공부한 내용을 업로드 하기 위한 파일명으로 주로 사용합니다. 나중에 포트폴리오 용도로 사용하기 편리합니다. 작업명.md와 같이 markdown 파일형식을 사용합니다. 2. markdown이란? 마크다운(markdown)은 일반 텍스트 문서의 양식을 편집하는 문법. README 파일이나 온라인 문서, 혹은 일반 텍스트 편집기로 문서 양식을 편집할 때 쓰입니다. 마크다운을 이용해 작성된 문서는 쉽게 HTML 등 다른 문서형태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출처 : 마크다운 위키백과) 마크다운을 통해서 설치방법, 소스코드 설명, 이슈 등을 간단하게 기록하고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마크다운 사용 문법 링크** 3. 깃허브에서 폴더 .. 2020. 4. 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