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운영체제는 영국 기업 캐노니컬에서 개발, 배포하는 데비안 리눅스 기반의 컴퓨터 운영체제입니다.
오픈소스로 개발되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1. 운영체제란?
영어로 Operating System이고 줄여서 OS라고 하죠.
간단하게 얘기하면, 운영체제는 컴퓨터 하드웨어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사용자들이 컴퓨터 하드웨어를 모르더라도 쉽게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소프트웨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하드웨어는 크게 CPU, 메모리, I/O(입출력 장치)로 이루어져있는데요,
이들 각각이 수행하는 기능들에 대해 하나하나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운영체제라는 하나의 프로그램을 통해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
운영체제는 효율적인 하드웨어 관리를 통해 처리능력 향상, 응답시간 최소화, 사용 가능동의 향상, 신뢰도의 향상의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윈도우, 맥OS, 유닉스, 리눅스 등등을 예시로 들 수 있어요.
2. 그럼.. 리눅스는 무엇인가
대체적으로 사용되는 운영체제가 윈도우이다보니 리눅스는 생소한데요, 리눅스는 특히 서버에서 많이 활용되는 운영체제입니다. (네이버도 리눅스 기반)
리눅스가 널리 쓰이기 전에는 Unix(유닉스)라는 운영체제가 많이 쓰였는데, 비싼 비용을 지불해야하기 때문에 개인보다는 기업에서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리눅스를 처음 개발한 사람은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라는 대학원생이라고 합니다.
정확하게는 리눅스가 아닌 리눅스 커널*(Linux Kernel)을 개발한 것인데요, 리눅스 배포판**의 그 나머지 부분은 GNU 프로젝트***에 의해 나머지가 완성되었기 때문에 GNU/Linux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오픈소스이다 보니 리눅스 커널 기반의 다양한 운영체제가 개발되었습니다.
대표적으로, 안드로이드도 리눅스 커널을 기반으로 하고 있고 우분투도 리눅스 기반 운영체제입니다.
*커널(Kernel) : 현재 제어하는 하드웨어 장치의 지원 여부 정보, 하드웨어 성능,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코드가 들어있는 부분. 사용자들이 직접 커널 버전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자세한 정보는 리눅스 커널의 공식 사이트 참고 (https://www.kernel.org)
**리눅스 배포판 : 리눅스 커널, GNU 소프트웨어 및 여러 가지 자유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운영 체제. 데비안, 페도라, 우분투 등이 있다.
***GNU 프로젝트 :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하고 있는 프로젝트로, 누구나 자유롭게 "실행,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고, 누구도 그런 권리를 제한하면 안 된다는 사용 허가권(License) 아래 소프트웨어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즉, GNU 프로젝트를 활용해 만든 소프트웨어의 모든 소스코드 공유를 원칙으로 합니다.
GNU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한 소프트웨어 참고 : ko.wikipedia.org/wiki/GNU_%ED%8C%A8%ED%82%A4%EC%A7%80_%EB%AA%A9%EB%A1%9D
3. 우분투(Ubuntu)란?
우분투란 앞서 말했다시피, 영국 기업 캐노니컬에서 개발, 배포하는 데비안 리눅스 기반의 컴퓨터 운영체제입니다.
우분투(ubuntu)라는 단어는 남아프리카의 반투어에서 유래된 말로, 다양한 뜻을 함축하고 있지만 캐노니컬은 '타인을 향한 인간애'라는 뜻으로 사용한다고 합니다.
리눅스 배포판 중 하나인 데비안 리눅스의 특징은 패키지의 설치와 제거가 단순하다는 것입니다. 일단 설치 후 패키지 매니저인 apt 명령어를 이용하면 소프트웨어 설치나 업데이트, 제거 등이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1) 우분투의 특징
- 오픈소스 기반 소프트웨어이다. 배포판을 수정하거나 수정한 것을 재배포할 수 있는 자유가 있습니다.
- 사용자가 손쉽게 운영 체제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데스크톱 USB, CD 자체에서 처음 실행할 때 'Ubuntu 체험하기' 메뉴를 통해 라이브 CD 상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우분투는 개인용 데스크톱과 노트북에서 가장 인기 있는 리눅스 배포판이며, 배포판은 Desktop(GUI)와 Server(CLI) 두 가지를 기본적으로 배포합니다.
- Desktop : X Window 환경을 지원하며 LibreOffice, Firefox, Gedit 등의 다양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툴을 제공.
- Server : X Window 환경을 지원하지 않으며, GUI 대신 CLI(Command Line Interface) 환경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 시스템을 관리할 때 sudo 도구를 사용합니다.
2) 우분투 버전
- 우분투 리눅스의 최종 버전은 2004년 10월에 우분투4.10 버전부터 시작되었습니다.
- 우분투의 일반 버전은 약 6개월마다 새로운 버전이 발표되고, 장기지원(LTS) 버전은 2년마다 새로운 버전이 발표됩니다. 현재 가장 최신의 LTS 버전은 18.04이고 10년간 지원된다고 합니다.
- 우분투 버전의 이름은 발표된 연도와 월로 짓습니다. 예를 들어, Ubuntu 18.04 버전은 2018년도 4월에 배포된 버전임을 의미합니다.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리눅스 운영체제(CentOS, 우분투)에서 도커 설치하기 (0) | 2022.01.07 |
---|---|
[Docker] 컨테이너 삭제 (0) | 2021.10.11 |
[Docker] 컨테이너 생성, 실행 (0) | 2021.10.11 |
[Ubuntu] 리눅스(Linux) 터미널 기본 명령어(2) - 사용자 확인 및 전환, 디렉토리 (0) | 2021.01.08 |
[Ubuntu] 리눅스(Linux) 터미널 기본 명령어(1) - man page, 시스템 로그인 (0) | 2021.01.04 |
댓글